메뉴 건너뛰기
  • 수성구
  • 러닝톡
  • 수성예약
  • 문화관광
  • 보건소
  • 행정복지센터
  • 의회
  • 이용안내
  • 사이트맵
수성구청통계연보
  • 수성구청 통계연보
  • 자주찾는 통계
    • 인구 현황
    • 기타 통계
  • 수성구 소개
    • 수성구 안내
    • 구정 방침
    • 수성구의 상징
    • 수성구민의 노래
  • 도표로 보는 수성구
    • 행정구역
    • 수성구의 하루
    • 기후
    • 인구
    • 인구동태
    • 사업체
    • 주택
    • 자동차등록
    • 사회복지시설
    •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
    • 의료시설
    • 위생관련업소
    • 학교현황
    • 교원1인당 학생수
    • 재정
    • 지방세 징수
    • 공무원
    • 화재발생
  • 통계연보
    • 수록내용
    • 일러두기
    • 연혁
    • 토지
    • 인구
    • 사업체
    • 농림업
    • 광업·제조업
    • 가스·수도
    • 유통·금융
    • 주택·건설
    • 교통·관광·정보통신
    • 보건 및 사회보장
    • 환경
    • 교육 및 문화
    • 재정
    • 공공행정 및 사법
    • 시정 통계
  • 사업체조사 보고서
    • 수록내용
    • 머리말
    • 이용자를 위하여
    • 조사개요
    • 용어해설
    • 통계표
    • 산업분류 일람표
    • 조사표
  • 부록
    • 목차
    • 수성구 기구표
    • 역대 구청장 명단
    • 역대 부구청장 명단
    • 역대 구의회 의장단 명단
    • 시의회 의원 명단
    • 구의회 의원 명단
    • 동청사 현황
    • 행정구역 및 동 명칭
    • 관내 지구대 현황
    • 관내 119 안전센터 현황
    • 관내 주요도로 현황
    • 관내 주요하천 현황
    • 문화재 현황
    • 명승고적
  • 사이트맵
내용 건너뛰기

수성구 안내

메뉴경로 : 메인 > 수성구 소개 > 수성구 안내

대구의 희망! 세계로 수성!

01.지역유래 수성구(壽城區)는 신라시대에 위화군(胃火郡,上村昌郡이라고도함)인데 경덕왕이 수창군(壽昌郡)이라 하였다. 고려초에 수성군(壽城郡)으로 바뀌어 현종 9년(1018)에 수성군사(壽城郡司)로 경주에 속했다가 공양왕 2년(1390)에 해안현(解顔縣, 慶州任內에 속했는데 그 시대는 미상이다)을 겸하여 감무(監務)를 두었다. 조선 태조3년(1394)에 대구겸관으로 삼았다가 태종 14년(1414)에 대구에 합속(合屬)시켰으며, 1419년에 수성현사(壽城縣司)로 대구임내(大邱任內)에 속하게 된 고증과 사유로 명명(命名)된 수성구(壽城區) 수성야(壽城野, 현재는 도시계획으로 구획정리되어 황금동, 두산동으로 되었음)가 구(區) 관할(管轄)의 중심지를 이루고 있으며 1980년 4월 1일 구(區) 신설시 수성구(壽城區)로 명명(命名)되었다. 1981년 7월 1일 대구직할시로 승격시 경산군 고산면이 편입되어 구역(區域)이 확장되었다.

02. 역사

수성구 역사 -年代, 內容
年 代 內 容
1980.04.01 수성구 신설(동구에서 분구)
1981.07.01 직할시 승격시 경산군 고산면 편입, 고산출장소 설치
1982.09.01 고산1동 신설
1983.03.15 고산출장소 폐지, 고산2동 신설
1987.01.01 가천동 일부 동구로 편입
1988.05.01 자치구로 승격
1992.01.14 사회산업국, 도시국 신설
1992.09.01 만촌2동이 만촌2,3동, 황금동이 황금1,2동 지산동이 지산1,2동으로 분동
1993.08.10 도시개발과 신설
1995.01.01 직할시를 광역시로 명칭변경
1995.03.07 징수과 신설
1996.01.01 범물동이 범물1,2동, 고산1동이 고산1,3동으로 분동
1996.02.10 행정조직개편(3국 2실 16과 60계)
1998.09.21 행정조직개편(3국 2실 13과), 계제도 및 사무장제도 폐지
1999.08.28 행정조직개편(3국 2실 12과), 동 주무 배치(15명)
2001.12.01 동사무소 기능전환 확대시행, 주민자치센터 설치
2001.12.31 고산2동의 법정동 중 내환동을 대흥동으로 변경
2003.01.21 행정조직개편(3국 2실 13과)
2003.07.01 고산1동의 법정동 중 노변동을 고산2동에 편입
2005.02.28 행정조직개편(3국 2실 14과 76담당)
2006.11.27 행정조직개편(3국 1실 16과 84담당 1T/F), 동사무소 주무제도폐지 및 2담당제도 시행
2008.02.01 행정조직개편(구본청 - 3국 1실 12과 1단 7팀 76담당, 보건소 - 2과 9담당)
2008.10.31 행정조직개편(구본청 - 3국 1실 12과 1단 4팀 79담당, 보건소 - 2과 9담당)
2010.08.10 행정조직개편(구본청 - 3국 2실 14과 5팀 79담당, 보건소 - 2과 9담당)
2011.01.01 행정조직개편(구본청 - 3국 2실 1단 14과 5팀 81담당, 보건소 - 2과 10담당)
2012.01.01 행정조직개편(구본청 - 3국 2실 1단 18과 1팀 85담당, 보건소 - 2과 10담당)
2013.09.01 행정조직개편(구본청 - 3국 2실 2단 19과  89담당, 보건소 - 3과 10담당)
2014.10.01 행정조직개편(구본청 - 3국 2실 3단 19과 92담당, 보건소 - 3과 10담당)
2015.07.01 행정조직개편(구본청 - 3국 2실 2단 19과 91담당, 보건소 - 3과 10담당),
규제개혁추진단 폐지 
2016.01.01 행정조직개편(구본청 - 4국 2실 2단 20과 95담당, 보건소 - 3과 1센터,11담당)
2016.07.01 행정조직개편(구본청 - 4국 2실 2단 20과 97담당, 보건소 - 3과 1센터,11담당)
2017.01.01 행정조직개편(구본청 - 4국 2실 2단 20과 99담당, 보건소 - 3과 1센터,12담당)
2017.07.01 행정조직개편(구본청 - 4국 2실 2단 20과 102담당, 보건소 - 3과 1센터,12담당)
2019.01.01 행정조직개편(구본청-3국 1본부 3실 22과 108팀, 보건소-3과 1센터 12팀)
2020.01.01 행정조직개편(구본청-5국 1실 1단 25과 113팀, 보건소-3과 1센터 12팀)
2021.01.01 행정조직개편(구본청-5국 1실 1단 25과 115팀, 보건소-3과 1센터 13팀)
2021.03.30 행정조직개편(구본청-5국 1실 1단 25과 115팀, 보건소-4과 1센터 14팀)

부메뉴 건너뛰기
  • 수성구 소개
    • 수성구 안내
    • 구정 방침
    • 수성구의 상징
    • 수성구민의 노래